산과 들, 그리고 금강이 흐르는 익산!
볼거리, 먹을거리, 그리고 농촌체험프로그램이 많은 익산으로 초대합니다!!
왕궁리오층석탑
지 역: 왕궁리/보석박물관권 둘레길: 무왕길 테 마: 세계유산 종교유적 문화유산/문화재 교과서여행 |
·담 당 자 : 왕궁리유적전시관 |
·문의전화 : 063-859-4631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wg |
·주 소 : 전북 익산시 왕궁면 궁성로 666 (왕궁리, 왕궁리유적전시장) |
·운영시간 : NULL |
- 관련 사진
왕궁리오층석탑 관련 사진
- 여행지 상세정보
왕궁리오층석탑 상세정보
1965년에 밭 가운데 방치되어 있고 기울어 가던 “왕궁리오층석탑 ”을 보수했다 . 목적은 붕괴를 막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보수 과정에서 한국사를 다시 써야만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 탑의 1 층 옥개받침과 기단 (基壇 ) 사이에서 사리병과 금제금강경판 , 그리고 금동불상과 옥, 방울 등 수많은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던 것이다 . 출토되자마자 유물들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국보로 지정되었다 .
< 붕괴를 막기 위한 보수 중, 1965년 >
특히 금제금강경판 (金製金剛經板)은 출토된 유물중 가장 주목받는 것이다 . 이 판경 (板經)은 순금판 열아홉 장에 각기 열일곱 줄의 금강경을 뚜렷하게 눌러 찍어 효과를 냈다 . 글자의 모양으로 보아 정밀하게 조각된 판목 (板木)에 의해 만들어진 고도의 기술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 금제금강경판 (金製金剛經板 ) >
“왕궁리오층석탑 (王宮里五層石塔 )“은 1997 년에 국보 289 호 지정되었는데 높이가 8.5 미터로 백제석탑 양식을 충실히 따른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 초기의 석탑이다 . 석탑의 정확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지만 탑 주변에서 관궁사 , 대궁 등의 명문기와가 수습되어 궁성과 관련된 사찰이 건립 되는 과정에서 축조된 것으로 보고 있다 .
< 기단부에서 출토된 불상 >
< 탑 기단부에서 출토된 금동사리함, 유리 사리병, 국보 제123호 >
한편, 수투파는 무덤을 이르는 말로 탑의 오래된 이름으로 인도에서는 무덤 위를 탑처럼 뾰쪽하게 장식한다. 그런데 수투파 양식이 중국으로 넘어오면서 변하기 시작한다. 우선 귀한 부처의 진신사리를 땅에 묻을 수 없기에 탑을 쌓아 올려놓고 그 위에 사리를 두는 복발 (覆鉢 )로 마감한 것이다.
< 왕궁리5층석탑의 세부 >
복발은 “사발을 엎어두었다 ” 는 뜻으로 규모가 작아서 그렇지 그대로 무덤의 형태이다. 그 복발 위에 찰주를 세우고 상륜부를 만들어 탑의 위엄을 높인 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아름다운 탑 양식으로 승화되었다. 인도에서 중국으로 넘어온 탑은 처음에는 목탑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드넓은 벌판 뿐인 대륙에서 나무를 구하기 어려웠기에 벽돌로 탑을 쌓기 시작했다. 그것이 전탑 (塼塔 )이다. 중국의 대부분의 탑은 전탑 형식이다 .
한반도로 건너온 탑도 처음에는 목탑이었으리라.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기 시작했다. 그리고 백제의 익산시기에 이르러 탑은 단순한 건축물 그 이상의 예술로 승화되었다. 우선 재료가 나무에서 돌로 바뀌었다. 돌을 다루는 백제 장인들의 기술과 양질의 돌이 생산되는 익산의 지질이 서로 만나면서 가능해진 일이다. 돌을 재질로 쓰게 되면서 천년 이상 가는 아름다운 탑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미륵사지 석탑이 목조양식을 띠게 된 연유다.
미륵사지 석탑에 의해 새롭게 시작된 백제의 석탑 양식은 부여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왕궁리 오층석탑으로 이어진다. 학계에서는 백제석탑 양식을 충실히 따른 통일신라 말 또는 고려 초기의 석탑으로 보고 있다. 왕궁리 석탑이 보여주는 전체적인 안정감과 상승감은 백제의 석탑이 가지는 미학의 완결판이라 할 만하다.
“왕궁리오층석탑 ”이 있는 마을을 탑리 (塔里)라고 하는데 이름의 유래로 볼 때 이 탑이 마을보다 더 오래 전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발굴하면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탑의 기단의 네 모서리에 팔각의 서로 다른 주춧돌이 놓여 있었다. 모서리에 있는 우주석 (隅柱石) 사이에는 길고 큰 돌을 몇 단 쌓아 올려 모서리를 받치도록 했다 .
<석탑 상륜부(相輪部) >
탑신부는 옥신 ·옥개석 (屋蓋石 )이 모두 몇 장의 돌로 구성되어 있는데 , 1 층 옥신은 우주가 새겨진 기둥 모양의 네 개의 우석 (隅石 )과 탱주가 새겨진 중간석 (中間石 )으로 되어 여덟 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
2 층은 사면이 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고 , 3 층 이상은 2 개의 돌로 되어 각각 우주 (隅柱 )가 형태로만 표시 되어있다 . 옥개석은 매우 넓은데 , 받침과 지붕이 각각 다른 돌로 되어있다 . 옥개받침은 각 층이 3 단으로 백제탑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옥개석의 추녀는 얇고 추녀 밑은 수평이나 우각 (隅角 )에서 가벼운 반전 (反轉 )이 이뤄진다 . 아마도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 옥개석 모서리 끝에는 풍령공 (風鈴孔 )이 뚫려있다 . 그리고 상륜부 (相輪部 )에는 노반 (露盤 )과 복발 (覆鉢 ) 그리고 앙화 (仰花 )와 부서진 보륜 (寶輪 ) 한 개가 남아 있다 .
<글, 사진 출처 : 익산시 블로그 >
- 찾아가는 길
왕궁리오층석탑 찾아오시는 길
- 주변 체험
왕궁리오층석탑 주변 체험
- 주변 숙박
왕궁리오층석탑 주변 숙박업소대파니힐링팜
분류 : 농촌민박
지역 : 미륵사지/금마권역
테마 : 4인실 , 6인실 , 8인실 , 승마 , 족구장 , 바비큐 , 전원 , 독립형 , 등산 , 농촌체험 , 전통체험 ,
- 주변 맛집
왕궁리오층석탑 주변 맛집왕궁다원
차, 한옥(고택), 그리고 정원,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공간, 왕궁다원!..
분류: 카페
지역: 왕궁리/보석박물관권
테마: 상견례 , 프로포즈 , 기념일 , 가족외식 , 외국인접대 , 장인정신 ,뚜부카페
서동공원 입구에 위치한 두부전문요리 식당입니다...
분류: 한식 익산맛집20선
지역: 미륵사지/금마권
테마: 기념일 , 동창회/계모임 , 행사모임 , 가족외식 , 외국인접대 ,물머리집
34년 전통의 민물매운탕 전문점 물머리집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금마저수지 입구..
분류: 한식 익산맛집20선 모범음식점
지역: 미륵사지/금마권
테마: 동창회/계모임 , 행사모임 , 가족외식 ,맛동순두부(구. 미륵산순두부)..
미륵사지 맞은편에 위치한 원조 미륵산 순두부집은 20년 전통을 자랑하는 두부요리 전문점..
분류: 한식
지역: 미륵사지/금마권
테마: 동창회/계모임 , 행사모임 , 가족외식 ,